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떼쓰는 아이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감정 조절을 돕는 심리학적 육아 방법 7가지

by 슈퍼노멀 !!! 2025. 2. 12.

떼쓰는 아이 심리학적 육아 방법

 

아이를 키우면서 부모가 가장 많이 직면하는 도전 과제 중 하나는 바로

아이의 떼쓰기입니다.

원하는 장난감을 사달라고 마트에서 울거나,

외출하기 싫다고 현관에서 드러누워 버리는 등

다양한 상황에서 아이들은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떼를 쓰게 됩니다.

 

하지만 떼쓰기는 아이가 감정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며,

이를 올바르게 대처하면 아이의 자기 조절 능력과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습니다.

 

심리학적 연구를 바탕으로 떼쓰는 아이를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7가지 방법을 소개해 보겠습니다.

 

오늘 글을 통해 부모로서 보다 현명한 대응 방법을 익히고,

아이와의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해 봅니다.

 

1.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는 것이 먼저입니다

아이들은 어른처럼 감정을 조리 있게 표현하는 능력이 많이 부족합니다.

원하는 것이 있거나 불만이 있을 때, 떼쓰는 행동으로

감정을 표현하는 경우가 매우 많습니다.

 

왜 아이들은 떼를 쓸까요?

■ 감정을 언어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효과적인 방법을 알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부모의 관심을 얻기 위한 행동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아이가 울고 소리를 지를 때

부모가 왜 떼를 써?”, “그만 울어!”라고 말하면

오히려 더 강하게 반응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올바른 대응 방법

아이의 감정을 먼저 인정해 주셔야 합니다.

 

지금 속상하구나.”, “무언가 원하는데 안 돼서 화가 났구나.”라고

   공감해 주세요.

 

감정을 인정받으면 아이는 더 빠르게 진정하고,

   부모와의 신뢰도 형성됩니다.

 

실제 효과

감정을 인정받은 아이들은 감정을 조절하는 능력을 훨씬 빠르게 배웁니다.

 

2. 감정을 표현하는 언어를 가르쳐 주세요

아이가 떼를 쓰는 이유 중 하나는

자신의 감정을 말로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하기 때문입니다.

 

어떻게 감정 표현 능력을 키울까요?

아이가 울고 있을 때, “지금 어떤 기분이야?”라고 물어보세요.

 

"속상해", "짜증 나", 짜증 나 "화가 나", "기분이 좋아" 같은

   감정 단어를 가르쳐 주세요.

 

감정 카드를 활용하면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쉽게 이해하고

   표현할 수 있습니다.

 

실제 효과

감정을 표현하는 단어를 익힌 아이들은 자신의 감정을

말로 전달할 수 있어 울거나 소리를 지르는 빈도가 줄어듭니다.

 

3. 부모가 차분한 태도를 유지하세요

부모가 흥분하면 아이도 더욱 감정적으로 반응하게 됩니다.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여주면 아이도 자연스럽게

따라 하게 됩니다.

 

차분한 대응 방법

아이가 울거나 소리를 질러도 감정을 통제하고,

   차분한 목소리로 대응해 주세요.

 

엄마(아빠)는 차분하게 이야기할 거야.

   너도 진정한 후에 이야기해 보자.”라고 말해 주세요.

 

아이가 과격하게 반응할 경우,

   부모가 먼저 감정을 조절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리학적 배경

사회학자 앨버트 반두라(Albert Bandura)”

사회 학습 이론(Social Learning Theory)에 따르면,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을 보고 따라 한다고 합니다.

 

4. 올바른 대체 행동을 가르쳐주세요

떼쓰기는 아이들이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따라서 아이가 떼쓰지 않고도 원하는 것을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이 중요합니다.

 

어떻게 가르칠까요?

울지 말고, ‘엄마(아빠), 장난감을 사고 싶어요.’라고 말해 볼까?”라고

   유도합니다.

 

올바르게 요청했을 때 칭찬을 통해 긍정적 행동을 강화합니다.

 

예를 들어, “이렇게 차분하게 말하니 엄마(아빠)도 듣기가 좋네!”라고

   격려해 보세요.

 

실제 효과

아이들은 원하는 것을 얻기 위해 울거나 소리를 지르는 대신

말로 표현하는 법을 배우게 됩니다.

 

5. 감정 조절 놀이 활용하기

놀이를 통해 감정 조절을 연습하면 아이가 자연스럽게

감정을 다스리는 방법을 배울 수 있습니다.

 

추천 놀이 방법

감정 색칠하기

"오늘 기분이 어떤 색깔 같아?"라고 질문하며

감정을 색으로 표현하도록 합니다.

역할 놀이

인형이나 장난감을 활용하여 감정을 표현하는 연습을 합니다.

찰흙 놀이

스트레스를 받을 때 찰흙을 주물러 감정을 해소하도록 유도합니다.

 

실제 효과

놀이를 통해 아이는 감정을 조절하는 다양한 방법을

자연스럽게 익히게 됩니다.

 

6. 일관된 규칙과 보상 시스템 설정하기

일관되지 않은 부모의 대응은 아이를 혼란스럽게 만들고,

떼쓰기가 더욱 강해질 수 있습니다.

 

일관된 규칙 만들기

"떼를 써도 원하는 걸 얻을 수 없다"는 원칙을

   일관되게 유지해야 합니다.

 

차분하게 요청할 때 작은 보상을 제공하여 올바른 행동을

   강화시켜 주세요.

 

실제 효과

아이가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고,

논리적인 사고를 기를 수 있습니다.

 

7.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시간적 여유를 주세요

감정이 격해진 상태에서는 아무리 설득해도 효과가 없습니다.

 

올바른 대응 방법

지금 많이 화가 났구나. 잠깐 기분을 가라앉히고 이야기할까?”라고 말합니다.

 

일정 시간을 주고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가라앉힐 기회를 줍니다.

 

이 시간이 처벌이 아니라 감정을 가라앉히는 시간임을 강조해야 합니다.

 

실제 효과

아이들은 감정이 폭발했을 때 스스로 진정하는 법을 배우고,

자기 조절 능력이 향상됩니다.

 

결론 : 오늘부터 실천해 보세요!

아이의 감정 조절 능력은 부모의 양육 방식에 따라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감정을 인정하고 공감하기

 

감정 표현을 위한 언어 가르치기

 

차분한 부모의 모습 보여주기

 

올바른 대체 행동 가르치기

 

감정 조절 놀이 활용하기

 

일관된 규칙과 보상 설정하기

 

아이가 스스로 감정을 조절할 시간 주기